Germany's municipalities make good progress on heat planning - Industry(Clean Energy Wire, 2025.01.07.)
▶ 독일 지방자치단체, 1/3 이상이 화석연료 시스템의 단계적 폐지를 위한 열에너지 계획 수립에 착수하였으며 그 중 13%는 이미 계획 수립 완료
● 독일 내 인구 45,000명 이상의 대도시 중 98%가 열에너지 계획 수립을 선두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독일의 국가 기후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지역난방 확대를 주요 전입
※ 주요 키워드: 독일, 열에너지 계획, 대도시, 지대
출처: https://www.cleanenergywire.org/news/germanys-municipalities-make-good-progress-heat-planning-industry
New simulation tool maps existing, planned district heating networks(pv magazine, 2025.01.08.)
▶ 독일 브라운호퍼 연구소(Fraunhofer ITWM)는 기존 및 신규 지역난방 네트워크의 열 흐름 시각화 및 부하 피크 예측가능한 새로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 해당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열 수요 예측, 지역난방 열 네트워크 내 문제점 탐지, 운영 최적화 및 재생에너지 활용 극대화를 지원하며, 신규 네트워크 설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여 자원과 비용을 절약하는 친환경 난방시스템능
※ 주요 키워드: 독일, 프라운호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지역난방 네트워크
출처: https://www.pv-magazine.com/2025/01/08/new-simulation-tool-maps-existing-planned-district-heating-networks/
EBRD lends up to €105 million to Serbia to decarbonise district heating(The European Sting, 2024.12.31)
▶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은 세르비아 내 지역난방 시스템의 탈탄소화를 위해 최대 1억 500만 유로의공
● 세르비아 노비사드 지역에 대규모 태양열(solar-thermal) 발전 설비를 건설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연간 118,000MWh 이상의 재생가능한 열에너지 생산 목표
※ 주요 키워드: 유럽부흥개발은행, EBRD, 세르비아, 태양열
Romania is modernising district heating in six cities(CEENERGY News, 2025.01.25)
▶ 루마니아는 6개 도시(수체아바, 크라이오바, 콘스탄차, 클루지나포카, 티미쇼아라, 아라드) 내 고효율 열병합 발전소의 현대화와 지역난방 네트워크 개선을 추진 중임.
● 해당 프로젝트를 위해 약 5600만 유로를 투자하였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 손실 감소, 지역난방 효율성 향상 및 네트워크 수명 연장을 목표로 함.
※ 주요 키워드: 루마니아, 열병합 발전소 현대화, 지역난방 네트워크, 5600만 유로
IEA Report: From natural gas to renewable energy: How the Netherlands is transforming its energy system(Energia Estrategica, 2025.01.23)
▶ IEA, 2030년까지 9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55%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 전환 정책을 가속화하고 있는 네덜란드의 정책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행함.
● 네덜란드는 난방 및 전력 부문에서 천연가스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기존 가스 난방을 지역난방 네트워크와 히트펌프로 대체하고자 하나, 보조금 감소 등 정책 일관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음.
※ 주요 키워드: IEA, 네덜란드, 에너지 전환, 지역난방, 난방 탈탄소화, 천연가스 의존도 감소
World's largest CO2 heat pump put into operation in Denmark(heise online, 2025.01.08)
▶ 덴마크 내 설치된 세계 최대 규모(70MW)의 CO2 기반 해수 히트펌프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연간 약 28만MWh의 친환경 열을 지역난방 네트워크를 통해 약 2만 5,000가구에 공급할 예정임.
● 해수 히트펌프는 해수에서 CO2를 기화시키고 인근 풍력발전소의 전력을 이용해 이를 압축하여 고온의 열에너지를 생산하며, 1MWh의 전력으로 약 3MWh의 열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음.
※ 주요 키워드: 덴마크, 해수 히트펌프, CO2 기반, 세계 최대 규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