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정보넷

전체검색

집단에너지동향

  • 집단에너지동향
  • 국내뉴스

국내뉴스

  • 집단에너지동향
  • 국내뉴스

부산, 전국 첫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확정… 2030년까지 2094억 민간투자

게시물 상세보기 목록
작성자 관리자
작성시간 2025-11-19
조회 75
원문링크 https://www.etoday.co.kr/news/view/2522585
원문출처 이투데이

울산 등 3곳은 ‘보류’

 

 

부산시가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지정을 확정받았다. 대규모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중심으로 AI 기반 에너지 효율화를 추진하는 ‘신산업 활성화형’ 특구다. 정부가 규제특례를 허용하면서 부산은 사실상 국가 전력정책의 신(新)모델 실험장으로 올라섰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제36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부산 강서를 비롯해 경기 의왕, 전남, 제주 등 4곳을 분산특구로 최종 의결했다. 지난 5월 1차 후보지로 지목된 7곳 중 울산·경북·충남 3곳은 보류됐다.

 

부산 분산특구는 '강서 스마트그리드'로 명명됐다. 에코델타시티(EDC)와 명지지구, 강서권 6개 산업단지(명지녹산·미음·신호·화전·생곡·국제물류도시) 일대 49.9㎢ 규모다.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총사업비 2094억원(전액 민간)이 투입된다. 사업자 참여는 엔솔브(옛 부산정관에너지), 누리플렉스, LG CNS, 한전KDN이 맡는다.

 

 

핵심은 ESS Farm이다. 심야 등 저가 시간대 전력을 충전해 피크(최대 부하) 시간대 공급하는 구조다. 부산시는 이를 산업단지·항만·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수요처에 제공해 ‘전기요금 절감’이라는 직접 혜택을 설계했다. 시 추산 기업별 최대 8%, 부산 전체 연간 157억원 절감효과가 가능하다.

 

또 ESS 구독형 서비스를 도입, 반도체·대용량 데이터센터들이 개별 무정전 설비를 갖추는 비용을 대체한다. 약 2500억원 규모 설비 투자비 절감이 기대된다. 태양광 등 분산전원 출력제한 완화 효과도 연간 44억원으로 추산된다.

 

총 500MWh급 ESS는 약 4만2000세대 하루 사용량, 혹은 대형 데이터센터 5개를 감당하는 규모다. 부산은 이를 기업유치의 ‘가격 경쟁력 인센티브’로 쓰겠다는 전략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전국 최초 분산특구 지정은 부산이 미래 에너지 신산업의 전진기지가 됐음을 의미한다”며 “안정적 전력공급을 기반으로 ‘기업하기 가장 좋은 도시’ 경쟁력을 실물화하겠다”고 말했다.

 

※ 분산특구란?

전기를 쓰는 지역에서 전기를 생산·소비하는 ‘지산지소형’ 체계 구축 지역이다. 전기사업법상 발전·판매 겸업 금지가 예외로 허용돼 발전사업자와 사용자가 ‘직접거래’ 할 수 있다. 즉 정부가 제도적으로 구멍을 열어 ‘전력 신산업 모델’을 시장에서 직접 시뮬레이션하는 틀이다.

 

(44543)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성안동, 에너지경제연구원)


전화 052-714-2114

COPYRIGHT BY 2017 KIENERGY.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