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차 집단에너지 기본계획'은 2029년까지의 중장기 공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연구용역의 결과물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계획은 집단에너지사업법 제3조에 의거하여 5년마다 수립돼야 하며 에너지 및 온실가스 저감 목표, 공급 대상 및 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기존의 5차 기본계획이 2020년에 발표된 만큼 이번 계획은 연말까지 시급히 마련돼야 할 법정 요구사항이다.
그러나 현재 상황은 매우 불확실하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치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제6차 기본계획의 수립이 무기한 연기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계엄사태와 관련된 긴급한 정치적 상황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의 확정을 지연시키면서 집단에너지 기본계획 역시 영향을 받고 있다.
전기본이 우선적으로 확정되어야 집단에너지 기본계획이 수립될 수 있다. 현재 상황에서는 그 가능성이 희박하다. 이로 인해 업계는 집단에너지 기본계획이 사실상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집단에너지는 여러 건물이나 지역에 중앙에서 생산된 열과 전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주로 열병합발전이나 지역난방 방식으로 운영된다. 주거지, 상업지구, 산업단지 등 다양한 지역에서 집단에너지가 공급되고 있다.
집단에너지는 개별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에 비해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열병합발전 방식은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국의 집단에너지 공급은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나 정책적 지원과 민간 투자 유치, 그리고 정치적 안정성이 필요하다. 지속 가능한 에너지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집단에너지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