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정보넷

전체검색

집단에너지동향

  • 집단에너지동향
  • 국내뉴스

국내뉴스

  • 집단에너지동향
  • 국내뉴스

도심 ‘지뢰밭’ 노후화된 열수송관...업체 “예산 부족으로 교체 어려워”

게시물 상세보기 목록
작성자 관리자
작성시간 2024-10-10
조회 78
원문링크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43892
원문출처 전기신문

올해 열수송관 누수 사고 3건 발생...노후화 주요 원인
업계 “경영상황 좋지 않아 노후배관 교체 꿈도 못 꿔”

 

지난달 13일 오후 서울 양천구 중소기업유통센터 인근 지하 공동구 내부 열수송관에서 누수 사고가 발생해 수증기가 외부로 분출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노후화된 열수송관 사고가 잇따르면서 도심의 ‘지뢰밭’으로 불리고 있지만, 지역난방 사업자들은 적자 상황 속 예산 부족으로 인해 노후배관 교체에 어려움을 토로하면서 주민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 2일 지역난방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만 열수송관 관련 사고가 두 차례 발생했다. 지난 1월 17일 양천구와 구로구 일대에서 온수배관 누수로 인해 3만8000여 가구에 온수와 난방 공급이 중단됐고, 지난달 13일에는 같은 지역에서 또 한 번 온수배관 누수가 발생했다.


서울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관련 사고는 계속되고 있다. 올 7월 경기 안양시 동안구에서 지역 냉난방 배관이 파열되는 사고가 일어났고, 앞서 2018년 경기 고양시에서는 노후관 부식이 원인이 돼 열수송관이 파열되며 인명 피해까지 발생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열수송관 사고 원인이 ▲부식 ▲용접 부위의 약화 ▲지속적인 열 스트레스로 인한 파열 등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열수송관의 노후화를 꼽는다. 이는 기존에 설치한 열수송관들이 이제 수명을 다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

실제로 수송관의 설계 수명은 보통 30년으로 산정돼 있지만 압력·온도·관경 등에 따라 실제 운영 수명은 차이가 있다. 업계에 따르면 공급관의 경우 20년 이상 사용하면 기능 저하가 발생하고, 회수관의 경우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서울에너지공사에서 운영 중인 열수송관 총 438km 중 노후 배관은 252km로, 약 58%를 차지한다. 공사는 20년 이상 된 노후 열수송관에 대해 ▲안전 진단 등급 ▲취약도 ▲중단 세대수 ▲이상 징후 여부 등에 따라 자체 안전 관리를 분류한 후 이를 바탕으로 열수송관을 선제적으로 교체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노후 배관 교체를 위한 예산 문제가 사업자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노후화된 열수송관을 교체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해결책으로 꼽히지만, 예산 문제로 인해 이를 실행하기 쉽지 않다는 것.


서울에너지공사의 경우 서울시로부터 659억원의 출자금을 배정받아 열수송관 교체를 진행 중이며 연간 100억원 이상이 투입된다. 그러나 관계자들은 100억원으로 교체할 수 있는 노후 배관의 길이는 약 20km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더욱이 규모가 작은 업체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사업자들은 교체 비용에 대한 예산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도 많으며 유지·점검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한 중소업체 관계자는 “최근 몇 년간 적자 상태를 이어오면서 노후 배관 교체는 꿈도 꾸지 못하고, 점검하는 비용조차 감당하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빈번한 사고는 점검 부실로 인한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집단에너지사업자가 직접 점검을 수행하지 않고, 용역을 통해 점검함에 따라 점검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부호가 붙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집단에너지사업자들은 자체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해 점검을 받고 있다. 올해 두 차례 사고가 발생한 서울에너지공사 역시 열수송기술부에서 총괄 관리하고 있지만 전문업체 용역을 통해 유지보수, 관로교체 등 공사를 담당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사고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열수송관의 내부 점검이 어려운 이유는 열수송관의 경우 땅속에 매설돼 있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한 선제적으로 문제를 발견하기 힘들다. 이렇다 보니 집단에너지업계 입장에선 예측 가능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업계에서는 열수송관 점검을 위해 ▲사물인터넷(IoT) ▲지리정보시스템(GIS) 등 다양한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들로는 사고 방지에 한계가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울러 공동구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공동구는 전력·통신·수도·난방 등의 시설을 지하의 일정공간에 공동으로 수용하는 도시기반시설이다. 따라서 이곳에서 누수 사고가 발생하면 복잡한 지하 구조물에 물이 침투해 전기 설비나 통신망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한다.

업계 한 전문가는 “열수송관 교체 및 유지보수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예산 투입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또한 열수송관이 공동구에 함께 매립돼 있는 것은 매우 위험한 상황인 만큼, 공동구의 안전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44543)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성안동, 에너지경제연구원)


전화 052-714-2114

COPYRIGHT BY 2017 KIENERGY.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