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정보넷

전체검색

집단에너지동향

  • Home
  • 집단에너지동향
  • 국내뉴스

국내뉴스

  • Home
  • 집단에너지동향
  • 국내뉴스

[시론] 건물 냉난방에 친환경 ‘히트펌프’ 인기

게시물 상세보기 목록
Name 관리자
Date 2024-06-26
Views 1581
Link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406222229299150819
Origin 대한경제

최민성 델코리얼티 회장

 

 

미국과 EU 등 주요국의 부동산 산업은 지금 시급하게 탈탄소화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사용을 대폭 줄여 넷 제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히트펌프는 빌딩의 에너지 사용과 비용 절감, 실내 환경 개선 등을 위해 인기 있는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히트펌프는 실내를 냉각하거나 따듯하게 하는 냉난방공조 시스템의 일부다. 기존 가스보일러와 비교해 에너지 효율이 최대 5배 이상 높은 대표적인 친환경 기술이다.



히트펌프는 건물에서 가스 대신 전기로 가동되며 냉매와 압축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냉방 혹은 난방 열을 이동시킨다. 기존 에어컨과 히트펌프 기술의 주요 차이점은 히트펌프에는 역방향 밸브가 있어서 실내를 가열할 수도 있고 냉각할 수도 있다. 히트펌프는 겨울철과 여름철에 다 작동한다. 히트펌프는 기존 냉난방공조 시스템과 달리,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이다. 한편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땅속의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도 있다.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15%는 건물 냉난방에서 발생한다고 한다(세계경제포럼). 탄소 넷제로를 달성하려면 건물은 결국 재생 가능 에너지원으로만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히트펌프는 빌딩의 완전 전기화로 가는 과정에서 확장 가능한 솔루션으로, 냉난방 관련 탄소 배출량을 최대 20%까지 줄일 수 있다(멕킨지). 청정에너지 전기로 히트펌프를 작동하면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 80%까지 줄이고, 화석 연료 전기로 작동할 때도 가스보일러보다 20%를 줄일 수 있다(국제에너지기구). 전기료 절감도 히트펌프의 강점이다.



히트펌프는 넷 제로 여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상업용 건물의 소유주와 입주자에게도 이점을 제공한다. 공기의 질과 입주자 편안함이 향상되고, 건물의 운영 효율성이 향상되며, 건물 환경 법규 사항을 충족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히트펌프는 단독 주택과 꼬마빌딩은 물론, 고층 빌딩, 물류창고 등 다양한 등급의 자산과 신축 건물과 오래된 건물 개조에도 사용된다. 건물 입주자를 위해 더 건강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의 ‘플랫폼 16’ 프로젝트는 3개 빌딩으로 구성된 약 3만1000평 규모의 건물로 개발 중이다. 가스보일러는 설치하지 않고 공기 열원 히트펌프를 사용하여 100% 전기만을 사용하는 빌딩 전기화를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서구권을 중심으로 전력 수요와 탄소 감축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히트펌프 시장이 커지고 있다. 전 세계 히트펌프 시장은 올해 687억 달러에서 2029년 1097억 달러로 성장한다고 한다(KB증권).
 


미국에서 히트펌프는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과 함께 시장이 확대하고 있다. 미국 히트펌프 수요는 2022년 약 70억 달러에서 연평균 4.5% 성장해 2027년 8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코트라). 캘리포니아에서는 작년 기준 약 150만 개의 히트펌프가 가동되고 있고, 신규 단독 주택 중 히트펌프 실내 난방기의 점유율은 55%나 된다. 미국은 IRA법을 통해 최대 30%의 세액 공제와 보조금을 제공한다. 주택 냉난방용 히트펌프 설치에 최대 8000달러, 히트펌프 온수기 설치에 최대 1750달러까지 리베이트도 제공한다.
 


올해 국내 히트펌프 시장 규모는 약 29억 달러로 전망된다(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이중 주거용이 19.6억달러, 상업용 6.6억달러, 산업용 2.5억 달러다. 히트펌프는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에너지 기술 융합과 제로에너지 빌딩 구축을 위한 핵심이다. 건물 최적화와 에너지 수요 절감 등 기술개발이 심화되면서, 2026년 약 34억 달러까지 연평균 8.5% 성장이 기대된다.
 


히트펌프는 부동산의 넷 제로로 가는 길에서 기본적인 기술이 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관련한 법규와 정책이 강화되고, 투자자와 임차인이 전기화된 건물을 더 많이 찾으면서, 히트펌프는 진정한 솔루션으로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도 효율성 개선과 친환경 냉매 사용 등에 중점을 두고 기술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여기에 정부 보조금과 정책적 지원이 더해진다면 보급이 더욱 촉진될 전망이다.

 

 

(44543)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성안동, 에너지경제연구원)


전화 052-714-2114

COPYRIGHT BY 2017 KIENERGY.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