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정보넷

전체검색

집단에너지동향

  • 집단에너지동향
  • 국내뉴스

국내뉴스

  • 집단에너지동향
  • 국내뉴스

[미활용열의 재탄생] 탄소중립 실현, 열에너지에 달렸다

게시물 상세보기 목록
작성자 관리자
작성시간 2024-05-09
조회 1572
원문링크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404271928074570411
원문출처 대한경제

 

최종 에너지 소비 비중, 열에너지가 절반
전기에너지 대비 정부 정책?연구 미비
미활용열 활용률 1% 미만...“폐열?재생열 활용 고민해야”

 

친환경 에너지원을 확대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해 나가는 과정에서 열에너지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열에너지는 국내 최종 에너지 소비 비중의 절반 이상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제도적 개념화도 이뤄지지 않아 탈탄소화 전략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만간 실현될 분산에너지 시대에서는 열에너지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미활용열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8일 에너지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열에너지 상품 소비량은 6524석유환산톤(ktoe)으로, 최종에너지 소비량인 19만8356ktoe의 3.3%를 차지한다. 다만, 이 수치는 지역냉난방 등 공급자가 열에너지 형태로 판매한 ‘열에너지 상품’만 집계한 것으로, 급탕이나 취사 또는 산업부문의 공정열 등 ‘열에너지 서비스’를 고려하지 않았다. 열에너지 서비스까지 포함하면 전체 에너지의 약 48%를 열에너지 용도로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공급 통계로 열에너지를 살펴보면 비중이 3% 수준이라 중요하지 않은 에너지로 여겨진다”며 “열에너지를 서비스 측면에서 보면 완전히 다른 그림이 펼쳐지는데, 현재로서는 열에너지에 대한 인식 자체가 미진하다”고 설명했다.


열에너지는 화석연료 의존도가 커 온실가스 배출계수 또한 높게 나타난다. 탄소중립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열 부문의 탈탄소화 정책이 필수적이지만, 전력 부문과 달리 관련 법령과 연구자료는 턱없이 부족하다. 실제로 정부의 열에너지 정책은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을 제외하면 전무한 상황이다.



열에너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보니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열에너지 효율화 방안은 논의조차 쉽지 않다. 그 결과 산업폐열이나 재생열 등 미활용열의 열에너지 활용률은 1% 미만이다.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한국지역난방공사 본사 및  열에너지 공급 시설

 

반면, 미활용열을 활용한 사업화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맥킨지가 발간한 ‘폐열 회수의 잠재성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잠재적 회수 가능 열은 3100TWh에 달하고, 열 회수 및 활용을 통한 에너지 절감 비용은 1400억 달러(약 192조원) 규모로 추산됐다. 한국에서도 열에너지 관련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법과 제도를 정비해 열에너지 기본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
 


김동훈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한국자원경제학회장)는 “열에너지 관련 데이터는 지역난방공사에서 일부 측정되고 있으나, 국가 전체적인 조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건물이나 공장, 공공 섹터에서 열에너지 계측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탄소중립을 위한 열에너지의 종합적인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는 6월 분산에너지법 시행과 함께 집단에너지사업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해당 부문의 미활용열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 집단에너지는 수요지 중심의 에너지 공급 체계로, 기존 인프라를 통한 미활용열 활용 방안을 모색하면 분산에너지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논리다.



지역난방공사 엄태선 처장은 “미활용열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 지역난방 등에 활용하면 탄소 발생을 줄이고, 국가 및 국민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44543)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성안동, 에너지경제연구원)


전화 052-714-2114

COPYRIGHT BY 2017 KIENERGY.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