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olia accelerates decarbonisation of municipal heat with energy from waste(facilities management, 2024.10.2)
▶ 베올리아, 폐기물을 연료로 활용하여 영국 런던의 지역난방 시스템 탈탄소화 추진
● 유기물을 함유한 폐기물을 지역난방 시스템의 연료로 활용하여 난방 부문 탈탄소화를 가속화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것 대비 연간 약 14,000톤의 CO2 배출 절감 가능
※ 주요 키워드: 베올리아, 영국 런던, 지역난방, 탈탄소화, 폐기물 연료
UNICEF is helping front-line Kharkiv secure the critical energy infrastructure ahead of harsh winter(reliefweb, 2024.9.27.)
▶ 유니세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지역의 겨울 한파 대비를 위해 난방 인프라 재건 지원
● 유니세프와 유럽연합의 지원을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난방 인프라가 재건되어, 180,000명 이상의 주민들이 겨울 한파에 대비 가능
※ 주요 키워드: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난방 인프라, 전쟁, 재건
What's carbon-free? Utility regulators to decide what qualifies under state's clean energy law(MPRnews, 2024.9.26)
▶ 미국 미네소타 주의 공공 유틸리티 위원회, 청정에너지법에 입각한 '탄소중립' 기준 수립 예정
● 미네소타 청정에너지법은 2040년까지 탄소배출 없는 전력 생산을 목표하고 있으나, 모호했던 '탄소배출 유무' 기준을 공공 유틸리티 위원회에서 명확한 정의 및 기준을 마련할 예정
※ 주요 키워드: 미국, 미네소타, 탄소배출 기준, 공공 유틸리티 위원회
Six areas in England to pilot heat network zones(Transport+Energy, 2024.10.29.)
▶ 영국, 첫 번째 열 네트워크 구역 시범 사업자로 6개 지역 선정
● 데이터센터, 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여 지역난방으로 활용하는 열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며, 리즈, 플리머스, 브리스톨, 스톡포트 등 6개 지역을 시범사업지로 선정
※ 주요 키워드: 열 네트워크, 시범사업, 폐열회수, 데이터국
Europe may have 5GW of SMR capacity by 2035(Montel News, 2024.10.23.)
▶ 유럽, 2035년까지 최대 5GW 규모의 SMR(소형원전) 용량 확보 가능
● 에스토니아, 이탈리아 등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SMR 확대 계획을 진행 중이며, 지역난방 등 탈탄소화가 필요한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주요 키워드: 소형원전, SMR, 유럽, 지역난화
DDHP initiative to deliver the largest sustainable district heating system in Ireland(Innovation Newsnetwork, 2024.10.16.)
▶ 더블린 지역난방 프로젝트(DDHP), 아일랜드 내 가장 큰 지속가능한 난방 시스템 구축 목표
● 더블린 내 폐기물 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지역난방 열원으로 활용하여 인근 주거 및 상업 시설에 난방을 공급할 예정이며, 프로젝트 완료 시 도심의 주요 난방 네트워크로 자리매김할 예정
※ 주요 키워드: 폐열, 폐기물, 아일랜드, 더블린
INNIO's hydrogen CHP plant in Austria uses summer sun for power and heat in winter(Renewable energy magazine, 2024.10.15.)
▶INNIO 그룹, 오스트리아 내 수소 기반 열병합발전기와 축열조를 활용하여 계절간 에너지 저장
●여름철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산한 수소를 지하에 설치한 축열조에 저장하여 겨울철 전력 및 열에너지로 활용할 예정이며, 화석연료 절감 및 수소에너지 확대를 통해 무탄소 에너지 생산을 목표
※ 주요 키워드: 수소, 열병합발전, 축열조, 계절간 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