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 지속가능한 냉방 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역냉방 확대를 추진(ZAWYA, 2024.8.5)
▶ 카타르, 탄소배출 저감 및 수자원 안보 확보 가능한 지역냉방 확대 추진
● 카타르 내 탄소중립적이며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역냉방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결과 현재 지역냉방 점유율이 19%까지 성장하였으며, 향후 2030년까지 24% 수준으로 확대할 예정
※ 주요 키워드: 카타르, 지역냉방, 점유율 확대
독일, 주요 대도시 내 지역난방 시스템 활용 확대(Smart Energy International, 2024.8.2)
▶ 주요 대도시, 지역난방 활용 확대를 위한 건물 에너지 효율개선 필요
● 현재 함부르그, 베를린, 쾰른 내 건물 중 절반 이상이 일부 혹은 전체 개보수가 완료된 상태로 지역난방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개보수를 통한 건물 에너지 효율 증가가 필요
※ 주요 키워드: 독일, 주요 대도시, 에너지 전환, 지역난방
캐나다 블래치포드, 약 $2,400만1) 규모의 정부 투자로 하수열 교환 센터 설립 예정(Canadian Biomass, 2024.8.1)
▶ 캐나다 블래치포드, 신규 열원 확보로 지역냉난방 확대를 위한 하수열2) 교환 센터 설립 예정
● 전체 약 $7,900만 규모의 캐나다 정부의 지자체 지원 사업인 ‘Smart Renewables and Electrification Pathways Program’으로 하수도 열을 열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하수열 교환 센터 설립을 지원할 예정
- 캐나다 블래치포드 지역의 기존 지역냉난방 시스템은 하수열 교환 센터 신규 설립과 더불어 히트펌프 설치 및 배전망 확장을 통해 난방 13.1MW, 냉방 12.3MW 가량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주요 키워드: 캐나다, 블래치포드, 탄소중립 커뮤니티, 지역냉난방, 하수열 교환 센터
1) 캐나다 달러
2) 하수열 교환은 겨울철에는 상수도보다 높고 여름철에는 대기온도보다 낮은 하수도 물의 온도 차이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열교환기를 통해 하 수열을 채집하고, 열펌프로 보내 공급온도를 높이는 방식임.
독일 정부, 지역난방 업계에 높은 요금 투명성 요청(ASB Zeitung, 2024.7.31)
▶ 독일 정부, 지역난방 소비자 보호 및 요금 투명성 강화를 위한 요금 규정 개정 추진
● 요금 투명성을 제고하고 난방요금 급등에 대한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난방 요금 관련 규정인 The Remote Heating Regulation 개정을 통해 소비자 친화적인 지역난방 시장 형성을 도모 할 예정
- 개정 초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요금 세부항목 및 변경된 요금 정보를 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역난방 업체별 샘플 청구서 온라인 게시 의무 등이 논의되고 있음.
※ 주요 키워드: 독일, 지역난방 요금 투명성 강화, 소비자 보호, 요금관련 정보 공개 의무
Vienna turns wastewater into clean energy(SIEMENS, 2024.8.13)
▶ 오스트리아 비엔나, 하수 슬러지7)를 열방합발전의 연료로 사용 중
● 비엔나는 2015년도부터 시행된 E_OS 프로젝트를 통해 하수 슬러지를 하수 가스로 변환하는 신규 하수처리시설을 설립하였으며, 메탄을 60% 가량 함유하고 있는 하수 가스를 열병합발전소의 새로운 연료로 사용 중
※ 주요 키워드: 오스트리아, 비엔나, 하수슬러지, 하수 가스, 메탄, 열병합발전소 연료
District heating green, affordable choice for fast-growing cities(Sustainable BIZ, 2024.8.14)
▶ 급속 성장하는 대도시 내 저탄소 지역냉난방 활용으로 탄소저감 및 경제성 확보 가능
● 글로벌 금융회사인 RBC의 Climate Action Institute 보고서에 따르면 성장 가능성이 높은 대도시에 저탄소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을 보급할 경우 기존 지역난방의 탈탄소화 비용보다 비용 경쟁령이 높을 것으로 예상
※ 주요 키워드: 대도시, 급속 성장, 저탄소 에너지원, 지역냉난방, 비용 경쟁력
Denmark resumes subsidies for energy tech exports(PV magazine, 2024.8.12)
▶ 덴마크, 에너지 기술 수출 보조금 지원정책 재개
● 올 해 덴마크 에너지청은 에너지 기술 수출을 촉진하고 국가 간 협력을 지원하기 위해 약 930만 DKK(1.36 백만 달러) 규모의 에너지 기술 수출 보조금을 재개함.
- 폴란드와 네덜란드에 지역난방, 호주에 탄소포집 기술 수출 등 과거 2019년도에는 26개,2023년도에는 8개의 프로젝트가 이 기금을 지원받아 진행되었음.
※ 주요 키워드: 덴마크, 에너지 기술 수출, 보조금 재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