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정보넷

전체검색

집단에너지동향

  • Home
  • 집단에너지동향
  • 해외뉴스

해외뉴스

  • Home
  • 집단에너지동향
  • 해외뉴스

해외 주요뉴스 2023년 1월

게시물 상세보기 목록
Name 관리자
Date 2023-01-11
Views 1077

이탈리아, 지역난방 사업 지원(MarketScreener, 2023.1.5.) 

 

▶ 지역난방 열원의 화석연료 의존 감소 기대


● 이탈리아 유틸리티 기업 Hera는 2023년에서 2026년까지 €1.5억을 지역난방 사업에 투자할 계획임.


● 도시 3곳(볼로냐, 포를리, 페라라)에서 수행되며 주요 프로젝트는 Hera가 운영하는 4개의 지역난방 시스템을 연결하는 것임. 


● 해당 사업은 이탈리아의 ‘국가회복 및 복원계획(PNRR, National Recovery and Resilience Plan)’으로부터 총 €5,000만의 자금을 지원받음.


※국가회복 및 복원계획(PNRR, National Recovery and Resilience Plan)은 EU 경제회복기금인 ‘넥스트 제너레이션(Next Generation)’을 활용하는 국가재건 중장기프로젝트로 6개년(2021-2026년) 계획임.


● 연간 화석연료 소비량을 12,500TOE 줄이고 기존 지역난방 열원(폐기물에너지, 지열)의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할 것으로 예상됨.


※석유환산톤(TOE, Tonnage of oil equivalent)은 각종 에너지원들을 원유 1톤이 발열하는 칼로리를 기준으로 표준화한 단위로 1TOE는 10Gcal에 해당함.

 

출처: Hera, EUR150 million investment in district heating | MarketScreener

 

 

EU, 목질계 바이오매스 제한 협상 중(Energy Monitor, 2023.1.5.)

 

▶ 지역난방 부문 탈탄소화 지연 우려


● 유럽 의회는 2022년 9월에 목질계 바이오매스(woody biomass) 활용을 제한하기로 결정함. 현재 해당 건에 대해 위원회와 협상을 진행 중임.


­- 해당 지침은 2022년 9월 14일에 유럽의회가 통과시킨 재생에너지 지침(Renewable Energy Directive III·RED III) 개정안에 포함되어 있음.


­- 개정안에서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rimary Woody Biomass·PWB)를 산림에서 수확된 모든 원목과 부산물로 정의하고 PWB를 바이오매스로 사용하면 재생에너지 보조금을 받을 수 없음.


● 찬성 측은 20-30년간 지속될 정책임을 고려할 때 다음의 이유로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탄소 중립에 맞지 않다고 주장함.


­ -기존 화석연료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무분별한 삼림벌채 위험


­ -태양열,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원 투자 지연 우려


● 반대 측은 지역난방용 연료 중 바이오매스 비율이 높은 유럽 국가들이 많아 지역난방 부문의 탈탄소화를 지연시킬 수 있으며 에너지 안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함.


● 협상의 최대 쟁점은 의회가 제시한 PWB의 범위이며 관계자는 계단식원리(cascading principle)를 적용해 목재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만 바이오매스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함.


※ 주간 집단에너지 동향 제22-48호(2022.12.14.) 해외 주요 단신 “EU,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 연료 범위 제한” 기사 참조 바람.

 

출처: EU biomass: Should Europe count wood as a renewable fuel? (energymonitor.ai)

 

 

독일, 저온 지역난방 도입을 위한 초석 마련(Innovation Origins, 2023.1.4.)

 

▶ 친환경 열원 및 히트펌프가 통합된 열 네트워크 고려


● 비엔나의 약 40만 가구는 가스 난방을 사용 중이며 독일은 대안으로 저온 지역난방 시스템을 고려하고 있음.


● 2020년에 AnergieUrban 프로젝트 1단계에 착수하여 기존 열 네트워크에 태양열, 폐열, 지열, 히트펌프를 도입한 anergy 네트워크의 가능성에 대해 평가함.


● 비교 결과 가스 난방을 20년간 유지하는 것과 태양열, 지열난방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은 전체 비용이 동일함.


● 현재 후속 프로젝트(AnergieUrban Leuchtt?rme)를 통해 지열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법적, 조직적, 사회경제적 프레임워크를 검토 중임.

 

출처: With an anergy network, a city could heat itself - Innovation Origins

 

 

덴마크, P2X 프로젝트로 친환경 지역난방 공급(4C Offshore, 2023.1.6.) 

 

▶ 추가로 전력 계통 안정화 효과 기대 


● 덴마크의 P2X 프로젝트인 HØST PtX Esbjerg는 계통운영자(TSO)인 Energinet과 그리드 연결 계약을 체결함.


※P2X(Power-to-X)란 전력(Power)을 여러 다른 에너지(X) 형태로 저장/전환하여 이용하는 것을 의미함.


● HØST PtX Esbjerg는 약 €14억의 자본이 투입되었으며 재생에너지로 농업 및 운송용 그린 암모니아를 약 60만 톤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이번 협약을 통해 연결되는 1GW급 발전소는 2027년에 시운전 될 예정이며 재생에너지를 공급받는 동시에 전력 부족 시 잉여 전력을 그리드에 공급할 수 있어 계통 완화(buffer)시설로 활용 가능함.


● 추가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정 열로 15,000가구에 지역난방을 공급하며 연간 CO2 배출량을 150만 톤 줄일 수 있음.

 

출처: https://www.4coffshore.com/news/h%C3%B8st-power-to-x-project-secures-connection-agreement-nid27024.html

 


룩셈부르크, 한시적 보조금 조치 발표(RTL, 2023.1.5.) 

 

▶ 건물부문 규칙 개정, 에너지 소비 현황 점검


● 룩셈부르크의 에너지부는 급등한 에너지 가격에서 가계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발표하고 에너지 소비 현황에 대해 점검함.


● 가계를 보호하기 위한 난방 관련 조치는 다음과 같음.


­- 나무펠릿(Wood pellet) 가격 보조금: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정용 난방 연료인 나무펠릿 가격을 35% 감면


-­ LPG 가스 보조금: 2022년 10월 3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난방용 LPG를 사용하는 가구에 대해 0.20€/kg의 가격인하를 적용


-­ 난방유 보조금: 2022년 11월 1일에 발효되어 2023년 12월 31일까지 적용되며 추가 조치 불필요


-­ 지역난방 이용자를 위한 임시 보조금: 2022년 9월 평균가격 대비 상승폭을 약 15%까지 제한하기 위한 입법절차가 진행 중임.


-­ 건물부문: 2023년 1월 1일 이후의 건축물은 히트펌프를 사용해야하며 신규 최소 단열 요구사항이 적용


● 에너지 소비 점검 결과 2022년 12월 기준으로 가스 사용량은 전년도 대비 18% 감소했으며 전력 부문은 8% 감소함.


● 기존의 가스 사용 감축 목표(전년도 대비 30%)는 2022년의 평균 기온이 낮고 산업 부문의 소비량이 높아 달성하지 못함.

 

출처: RTL Today - In-depth overview: Here are the new subsidies to reduce energy costs in Luxembourg

 

 
폴란드, 지역난방 부문의 합리적인 전환비용 추정(EURACTIV, 2023.1.26.) 
 
▶ 회원국별 지역적 조건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
 
● 폴란드는 총 가구의 40%인 6백만 가구가 지역난방을 이용 중이며 2020년 기준 난방도일 수가 EU 평균대비 약 9%로 열 수요가 높은 편이므로 지역난방의 탈탄소화가 매우 중요함. 
 
● 폴란드 열병합 발전소 협회(PTEZ)는 EU 위원회의 ‘Fit for 55’초안대로 지역난방 전환을 수행할 경우의 전환비용을 추정함. 
 
● 비용은 2045년까지 €616억-911억으로 추정되며 이르면 2026년까지 상당부분인 €322억-556억의 자본이 투입되어야 함. 
 
-­ 2022-2050년 기간 동안의 열 시장에 대한 거시경제, 시장, 기술가정을 기반으로 함.
 
● 주요 권장 사항은 다음과 같음.
 
­ -2026년 기준으로 제안된 EED 개정사항을 발전 인프라에만 적용하여 필요한 자본투입 비용을  €177억-333억 수준으로 고려하는 것임.
 
­ -2030년 1월 1일까지 고효율 열병합 발전에 대한 새로운 직접 배출 기준(270g/kWh 미만)적용을 연기함(단, 적용 시에도 신규이거나 개조된 열병합 발전설비에만 적용되어야 함).
 
-2026년 1월 1일까지 신규 유닛에 대한 모든 투자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투자시점에 투자 프로세스의 advanced stage에 있어야 함.
 
 
 
 
슬로베니아, 지역난방 가격 상한선 설정(SeeNews, 2023.1.25.) 
 
▶ 천연가스 가격 상한선 조치 이후 두 번째 조치
 
● 슬로베니아 정부는 10월에 가정용 열 생산에 필요한 천연가스 최대가격을 €0.073/kWh로 설정하였으나 일부 시스템에서 지역난방 요금이 부당하게 증가함.
 
● 이에 대한 조치로 에너지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역난방 가격 상한선을 정함.
 
● 지역난방 비용 중 가변 부분에 대한 최대 허용 요율은 €98.70/MWh이며 2023년 1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유효함.
 
● 해당 규정을 통해 요금이 상한선을 넘은 총 59개의 공공네트워크 중 18개의 지역난방 요금을 줄일 것으로 예상됨.
 
 
 
 
데이터센터와 지역난방의 시너지효과(DataCenterKnowledge, 2023.1.4.) 
 
▶ 지역난방 시스템 이용률 높을수록 폐열 활용도 높아져
 
● 수냉식 냉각설비를 사용하는 데이터센터는 지역난방과 연계하기 쉬우며 지역난방 시스템이 없을 경우에도 근거리에 위치한 열 수요지에 폐열 공급이 가능함.
 
● 특히 북유럽 국가는 지역난방 시스템 이용률이 높아 데이터 센터의 열을 난방에 활용하기 쉬움.
 
● 데이터 센터의 열을 지역난방 시스템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센터 시설 개조가 필요함. 지역난방 운영자 및 에너지 기업은 시설 개조 자금을 지원할 수 있음.
 
● 지역난방 보유 지역은 시스템의 확장을 고려중이며 유럽 연합은 데이터 센터의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에 참여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음.
 
 
 
 
P2X 공장 폐열을 지역난방으로 활용(pvEurope, 2023.1.1.) 
 
▶ 운송 및 난방 부문의 탈탄소화가 동시에 가능
 
● European Energy는 덴마크의 전력공사인 Aabenraa Fjernvarme와 e-메탄올 공장에서 발생하는 잉여열을 지역난방 네트워크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함.
 
● 공장의 폐열은 약 3,300 가구에 지역난방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임.
 
● Power-to-X(P2X) 기술을 적용한 e-메탄올 공장은 30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그린 수소를 생산하고 그린 수소를 메탄올로 전환함.
 
● 운송부문의 탈탄소화를 위해 연간 32,000톤의 메탄올을 생산하고 운송연료로 공급할 예정임.
 
 
 
 
열병합발전,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 필요(PEi, 2023.1.10.) 
 
 
▶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재생에너지 간헐성 보완 가능
 
● 열병합 발전은 net-zero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수단이므로 기후중립 정책 수단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함.
 
● 최신 열병합 기술은 최대 90% 이상의 효율을 나타낼 수 있어 손실이 10% 미만임
 
­ -미국 에너지 정보국(EIA)은 전기시스템 에너지 손실을 65%로 계산함.
 
­ -유럽통계청(Eurostat)은 열 및 전기 생산에 투입되는 에너지의 45%가 손실되는 것으로 추정함.
 
● 특히 열병합발전은 겨울철 전력 및 열 수요의 첨두부하를 담당하여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할 수 있고 추후 개보수를 통해 재생 가능한 가스 연료(바이오가스, 그린수소)를 활용할 수 있음.
 
● 이외에도 ▲에너지 비용 조절, ▲에너지 시스템 전체에 회복탄력성(resilience) 제공, ▲적정성(adequacy), ▲경제성을 지원하는 등의 이점이 있음.
 
● 향후 열병합 발전은 다른 에너지 대안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개념으로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을 목표로 개발되어야 함.

 

출처: Delivering a more efficient and resilient energy system (powerengineeringint.com)

(44543)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성안동, 에너지경제연구원)


전화 052-714-2114

COPYRIGHT BY 2017 KIENERGY.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