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매출액 4.6% 감소 불구, 영업이익은 4.5% 증가
천연가스 판매량, 도시가스 5% · 발전용 9.9% 줄어
해외사업 손상차손 및 지분이익 감소로 당기순익 감소

▲ 가스공사 본사사옥 전경.
[에너지신문] 한국가스공사가 지난해 천연가스 판매가 전년대비 7.2%(262만2000톤)가 감소해 매출액이 4.6%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가스공사가 지난 2월 28일 발표한 ‘2019년 연간 누적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액은 24조9826억원으로 2018년 26조1850억보다 4.6%(1조2024억원)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1조3345억원으로 2018년 1조2769억보다 4.5%(576억원)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해외사업 손상차손 증가 등의 원인으로 583억원으로 2018년 대비 88.9%(4684억원) 감소했다.
한 관계자는 “3월 27일 주주총회에서 의결될 실적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 배당정책 방향과 투자비 집행계획 등을 고려해 향후 배당성향 40% 수준을 유지하고 지난해 회계연도 배당은 1주당 380원(배당성향 40.8%)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가스공사의 매출액은 2019년 천연가스 판매물량이 총 3359만7000톤으로 2018년 3621만9000톤 대비 7.2%(262만2000톤)가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최근 집계한 가스공사의 2019년 천연가스 판매실적(최종)에 따르면 도시가스용은 1882만2000톤으로 2018년 1981만3000톤 대비 5.0%(99만1000톤)가 줄었으며, 발전용은 1477만5000톤으로 2018년 1640만6000톤 대비 9.9%(163만1000톤)가 감소했다.
전년대비 5.0% 감소한 도시가스용의 경우 2018년 대비 동절기(1~3월, 12월) 평균 기온이 전년대비 1.1℃ 상승해 난방 수요가 줄어든데다 경쟁연료 대비 가격경쟁력 약화로 산업용 수요 등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시가스 용도별로 보면 주택용 781만9000톤(?5.4%), 업무난방용 50만3000톤(?9.7%), 일반용 169만5000톤 (0.1%), 냉난방공조용 54만 5000톤(?7.6%), 산업용 644만7000톤(?5.6%), 열병합 및 기타(열병합용, 열전용설비용, 수송용, 직공급, 연료전지용 등) 181만3000톤(?3.7%)로 집계됐다.
전년대비 9.9%의 큰 폭 감소를 보인 발전용의 경우 동절기 기온상승에 따라 총 발전량이 2.2% 줄어들은데다 신규 원전 가동과 원전 계획예방정비 감소에 따른 원자력 발전량이 9.2% 증가한 영향을 받았다. 직수입 발전량도 13.4%나 증가한 것도 한 몫했다.
한전 발전사 및 집단에너지사업자의 수요는 878만3000톤으로 전년대비 9.7% 감소했으며, 민자 발전사 등은 599만2000톤으로 10.3%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가스공사의 영업이익은 호주 Prelude에서 441억원의 매출이 발생했지만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219억원 감소하고, 종속회사 영업이익 감소(235억원)와 노무비 등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얀마에서 전년대비 351억원의 영업이익이 증가하고 공급비용이 조정된 영향으로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호주 Prelude 4180억원(세후 2926억원)과 캐나다 혼리버 1157억원 등 해외사업 손상차손 증가는 물론 카타르 KORAS, 인도네시아 DSLNG 등의 지분법 이익감소 등에 따라 전년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주요 해외사업을 보면 호주 GLNG의 경우 매출액은 6232억원으로 전년대비 685억원이 늘었지만 감가상각비 및 가스구입비 상승에 따른 매출원가 증가로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76억원 감소했다. 호주 Prelude는 지난해 생산개시로 441억원의 매출이 발생했지만 유가하락 및 생산안정화 지연에 따라 영업손실이 증가해 젼년대비 219억원의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지난해 말 기준 가스공사는 해외투자자산 손상차손 발생 등에 따른 유무형자산 감소 등으로 자산은 39조 3118억원으로 전년대비 1%가 감소했고, 부채도 도입단가와 물량감소에 따른 매입채무 감소 등으로 31조 1653억원으로 0.1% 줄었다. 가스공사 부채비율은 2018년 367.0%에서 2019년 382.6%로 15.6% 늘어났다.
가스공사의 관계자는 “2013년, 2016년, 2017년 회계연도는 해외사업 손상차손 처리로 당기순손실이 발생해 무배당키로 결정한 바 있고 2019년에도 해외사업 손상차손 증가와 지분법 이익 감소로 당기순이익이 큰 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배당성향 40% 수준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가스공사의 2019년 천연가스 판매실적 분석(최종)]

에너지신문, 최인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