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정보넷

전체검색

집단에너지동향

  • 집단에너지동향
  • 해외뉴스

해외뉴스

  • 집단에너지동향
  • 해외뉴스

해외 주요뉴스 2021년 5월

게시물 상세보기 목록
작성자 관리자
작성시간 2021-05-04
조회 10124

독일 연방 내각, 탄소누출규정(BECV) 수정 채택 (AGFW, 2021.4.23)

 

- 공급된 열량을 활용하여 연료 투입량을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등 지역난방에 긍정적인 조치 포함


● 독일 연방 내각은 독일 환경부가 지난 2월 발표한 탄소누출규정(BECV) 초안을 일부 변경하는 합동 초안에 합의함. 이 규정은 산업체 또는 기업의 독립 부문이 이 규정에 열거된 탄소 누출 위험이 있는 부문에 속하는 경우 보상을 받도록 해서, 독일 배출권거래법(BEHG)의 이산화탄소 가격 책정 대상인 기업의 국경간 경쟁력을 유지하여 더 높은 배출이 가능한 해외로의 기업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현재 내각이 통과시킨 규정에 따르면, 제 3자를 위해 열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연료는 관련 배출량을 결정할 때 고려되지 않으며, 이는 지역난방 공급회사가 탄소누출규정의 지원에서 대부분 제외된다는 것을 의미함. 


● 독일지역난방협회(AGFW)는 이산화탄소 가격 책정의 영향을 받는 열병합발전(CHP) 시스템이 덜 효율적이고 결합되지 않은 열 생산기술에 의해 탄소누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소누출규정의 틀 내에서 완화조치를 적용받아야 한다는 의견서를 제출한 바 있음. 


● 이번 합동 초안에서는 지역난방 및 열병합발전에 간접적이지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변경도 있었는데, 공급된 열량을 활용하여 관련된 연료 투입량을 결정하도록 허용한 것과 관련 배출량을 결정하기 위해 연료 대신 현재 인정된 열 벤치마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임.


● 미래에 난방 네트워크 운영자가 탄소누출규정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한 가지 가능성은 지원받은 보조금의 상당부분을 효율화 조치에 투자하는 것인데, 이것은 난방 네트워크 운영자의 폐열 사용에 대한 투자를 자극하는 시발점이 될 것임.   

 

출처: https://www.agfw.de/energiewirtschaft-recht-politik/energiewende-politik/aktuelles-aus-dem-bereich/detail/bundeskabinett-verabschiedet-carbon-leakage-verordnung/

 

 

 

2020년 지역난방 신규 소비자 기록적 증가 (Dansk Fjernvarme, 2021.4.23)

 

- 신규 건축물의 지역난방 채택 등에 따라 지난 10년간 연평균 증가보다 42% 넘는 신규 연결 증가


● 새로 공개된 덴마크 통계(Statistics Denmark)는 2020년에 지역난방에 연결한 신규 소비자의 수가 기록적인 수준으로 증가했음을 보여주었는데, 총 지역난방 소비자 수는 28,641명 늘어나 지난 10년 간 연평균 증가보다 42%가 넘는 증가를 기록함.


● 이러한 성장은 소비자들이 녹색 지역난방으로 인한 소비자 편익과 전반적 가격 하락에 대한 만족도가 크다는 방증이면서, 한편으로는 천연가스 보일러의 지역난방 전환과 신규 건축물의 지역난방 채택에 크게 기인하고 있음.


● 덴마크 지역난방협회(Dansk Fjernvarme)에 따르면, 신규 주택 건설 시 지역난방을 선택하는 건설업자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이것은 지역난방이 가격 경쟁력이 있고,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유지보수와 소음 문제가 없기 때문임.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신규 프로젝트의 영향으로 2021년에도 신규 연결이 계속 늘어날 것이며, 2022년에는 작년보다 더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출처: https://www.danskfjernvarme.dk/nyheder/nyt-fra-dansk-fjernvarme/210423-nye-forbrugere-str%C3%B8mmede-i-rekordstort-antal-til-fjernvarmen-i-2020

 

 


난방 전략에 대한 기대 (PTEZ, 2021.4.26)

 

- 난방부문 전체의 발전 방향 설정과 함께 지역난방 변화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기를 기대  


● 폴란드 기후환경부는 작년 10월 말 지역난방 부문 전환에 관한 전략을 2021년 1분기에 제시하기로 발표했는데, 이 자료는 금년 초에 발표된 에너지정책에 이어 또 다른 중요한 정책 자료가 될 것임. 

 
● 지역난방 전략은 난방부문 전체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 한편 에너지 전환으로 가는 과정의 변화를 지자체에 알리는 문서가 될 것이며, 탈석탄 등 지역난방 부문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문서가 될 것임.


● 난방부문 전환 전략이 대응해야 할 주요 과제는 지역난방 네트워크의 개발, 석탄기반의 열 및 에너지 생산에서 가스 또는 기타 대체연료 기반의 열 및 에너지 생산으로의 전환을 포함한 지역난방 변화를 지원하는 것임. 특히 현지 수준에서 투자를 가속화하는 것이 중요함.


● 특히 열병합발전 개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내용을 지역난방 전략에서 다루어야 하고, 자금 조달 방식에 대한 논의와 함께 지원제도가 시장 변화에 따라 계속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임.     


● 지역난방업계의 또 다른 관심사는 기후 중립을 위해 노력하되 무엇보다 공정하게 에너지 전환을 수행하는 것임. 이에 에너지업계는 오래전부터 에너지 부문의 이해뿐만 아니라 전환 비용의 소비자 전가를 포함한 사회 이슈에 대해서도 인식할 필요성을 제기해 온 바 있음.

 

출처: http://www.ptez.pl/aktualnosci/news/243/w_oczekiwaniu_na_strategie_dla_cieplownictwa/

 

 

배연 가스 집진기에 의한 가스 배출 제어와 폐열 활용 (FinDHC, 2021.4.29)

 

- 신기술 배연 가스 집진기를 통한 폐열 회수로 연료 소비 절감, 에너지 효율 향상 및 CO2 배출 감소


● 배연 가스(flue gas) 집진기(scrubber)는 에너지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작은 입자를 청소하는 장치로, 배연 가스 증기가 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지역난방에 활용하고 연료 사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임.


● 지역난방에서 배연 가스 집진기 투자는 엄격한 미세 입자 배출 제한을 달성하고 버려지는 에너지를 회수, 활용함으로써 연료 소비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CO2 배출을 감소하는 효과를 줌.


● 에너지 공정 산업 솔루션 제공업체 Caligo Industria는 배연 가스 집진기를 결합한 히트펌프를 개발해 폐열 회수를 크게 증가시켜 최대 30% 이상의 연료 절감 효과를 얻었음. Caligo Industria의 담당자는 배연 가스집진기를 연결해 폐열을 회수하는 방법이 기존 집진기보다 2배 이상 효율적이라 언급함.


● 핀란드 지역난방회사 Paimion L?mp?keskus Oy는 지난 3년 동안 폐열 사용량을 3배 까지 늘렸는데, 동 회사 대표는 몇 년 전에는 집진기로 회수한 폐열의 활용률이 10%에 불과했으나, 지금은 평균 25%, 최대 30%까지 활용할 수 있다면서 히트펌프 장착 배연 가스 집진기의 경제적?환경적 가치를 강조함.

 

출처: https://findhc.fi/savukaasupesuri-mahdollistaa-seka-paastojen-hillitsemisen-etta-hukkalampojen-hyodyntamisen/

 

 

 

덴마크 DH 시장에서 대형 히트펌프의 폭풍적 인기 (Solarthermalworld, 2021.5.3)

 

- 낮은 전력 가격 적용, 수수료와 세금 이점 및 새로운 보조금 지원제도로 대형 히트펌프 시장 급성장


● 덴마크 지역에너지 공급업체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난방을 줄이기 위해 수년간 대형 태양열 시스템 구축에 힘 써왔으나, 최근에는 히트펌프 기술에 대한 선호로 태양열 장비의 판매가 약화되고 있음.

 
● 덴마크는 2016년 까지만 해도 태양열 지역난방(SDH)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국가였으나, 2020년에는 신규 설치 용량이 10 MW로 급락하면서 추세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최근 정부의 인센티브 정책 변화로 태양열 지역난방의 미래 시장 상황도 암울해 보임.


● 대형 히트펌프는 탄소 상쇄를 적용받되 태양열 보다 1년 더 길게 적용받고 있으며, 탄소 상쇄 기간의 연장이  없다고 하더라도 태양열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갖고 있음.


● 즉, 덴마크의 열 공급업체는 유럽 전체에서 가장 낮은 전력 가격(0.06 유로/kWh)을 지불하고 있으며, 덴마크 정부는 이들 회사가 사용하는 전기에 대해 거의 수수료와 세금을 부과하지 않음. 이 때문에 열의 균등화 비용(levelized cost)이 SDH의 0.03 유로/kWh보다도 저렴한 0.02 유로/kWh 수준임.


● 대형 히트펌프는 2021년 3월에 도입되는 새로운 지원제도(히트펌프 설치비용의 최대 15%를 지원하는 보조금 제도) 때문에 더욱 매출이 증대될 전망임. 이러한 인센티브 제도의 전반적 목표는 전력 솔루션의 추진인데, 특히 정부는 풍력발전이 주변국가로 수출되는 대신 국내에서 더 사용되기를 원함.


● SDH는 더 낮은 비용으로 태양열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 진입자의 출현, 발전부문 배출에 대한 과세를 중시하는 정책, 그리고 전력 가격의 상승이 맞물릴 경우 비록 2016년의 최대 수준은 아니더라도 미래에 다시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임.     

 

출처: https://www.solarthermalworld.org/news/denmark-large-heat-pumps-take-dh-market-storm

 

 

 

더 나은 지역난방을 위한 서비스와 사업 모델 개발 (FINDHC, 2021.5.5)

 

-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해 소비자에게 난방 비용 저하와 탄소 발자국 절감의 기회를 제공   


● 난방 회사들은 주택 및 건물에 열을 제공하던 기존 역할에서 벗어나, 지금은 적극적으로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수요자의 난방 여건에 맞추어 주는 난방 조건 서비스가 포괄적인 서비스에서 특별한 역할을 하고 있음.


●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난방 조건 서비스 제공이 난방 사업의 새로운 발전 단계인 것으로 불려졌는데, 지금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모델이 증가하는 추세임. 예를 들면, 지역난방뿐만 아니라 전력, 상수 및 가스 공급 서비스를 포괄하는 것임.


● 소비자에게 난방 조건 서비스는 실외 기후 상황과 관계없이 쾌적한 실내 온도를 유지해 주는 서비스이며, 소비자의 냉난방 관리의 부담을 덜어 주어 지역냉난방의 사용을 더 용이하게 해 줌. 지역난방 회사의 이러한 서비스 개발은 탄소 발자국을 대거 줄이는 기회도 제공함. 


● 난방 조건 서비스 제공의 핵심은 열 수요 반응을 통해 열 사용 건물이 항상 이상적인 온도와 에너지 소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임. 또한 수요에 맞추어 열 생산과 분배가 잘 조절되게 하여 지역난방 비용과 환경 부담을 줄여 줄 수 있음.   


● 열 수요 반응 서비스의 제공은 공급자에게는 열 부하 곡선을 완만하게 하고 열 부하 예측 가능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는 난방 관리에 대한 부담을 해소해 줌. 예를 들면, 난방 회사가 난방 설비를 설치하여 소유하게 할 경우, 주택회사는 낮은 비용으로 난방 설비를 확보하고 난방 운영자는 열 사용 실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      

 

출처: https://findhc.fi/lampoyhtiot-tarjoavat-parempaa-kaukolampoa-kehittamalla-palveluita-ja-liiketoimintamalleja/

 

 

 

지역 열 배출 감소로 저탄소 에너지 로드맵 수정 (Energiateollisuus, 2021.5.6)

 

- 지역난방 열 부문의 빠른 배출 감소 실적과 기대로 배출 감축 시간표 5년 정도 단축 전망 반영  

  
● 최근 공개될 저탄소 에너지 로드맵 수정본에 따르면, 지역난방 열의 배출량은 2030년에 2017년 대비 약 80% 감소할 것으로 평가됨. 1년 전의 에너지 로드맵에서는 2030년 지역난방 열의 배출 감소는 2017년 대비 60%였음.


● 지역난방 회사는 효율성을 높이고 배출을 낮추기 위해 최근 몇 년 동안 해왔던 시스템 갱신 투자를 앞으로도 계속할 것이며, 연료 사용을 재생에너지와 비 연소 열 생산으로 대체할 것임에 따라, 지역난방 열 부문의 배출량은 2021~2024년 사이에 더욱 급격히 감소될 전망임.    


● 배출량 감축 시간표는 2021년 봄 이후 5년 정도 짧아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2030년 예측은 2025년에 2035년 예측은 2030년에 각각 도달할 것임.


● 지역난방 산업은 다른 11개 산업과 함께 2020년 6월 완료된 저탄소 에너지 로드맵에 참여하여 왔으며, 예상보다  빠른 배출 감소로 불과 1년 만에 로드맵을 갱신하게 하였음.     

 

출처: https://energia.fi/uutishuone/materiaalipankki/kaukolammon_paastot_vahenevat_energian_vahahiilisyystiekartta_piti_kirjoittaa_uusiksi_vuodessa.html#material-view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지역난방 (FGW, 2021.5.7)

 

- 소비자와 개발업체, 난방 방식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지역난방을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


● 최근 오스트리아 여론조사기관 marketmind가 소비자와 개발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과거 설문조사 결과와 마찬가지로 지역난방이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난방 방식으로 나타남.


● marketmind는 수년간 정기적으로 지역난방 사용 가구와 타 난방 사용 가구 및 개발업체를 대상으로 동일한 설문조사를 해 오고 있는데, 이번 조사에 응한 소비자의 74%, 개발업체의 84%가 지역난방을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음.


● 지역난방은 네트워크를 통해 아파트에 직접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청정성, 신뢰성 및 편리성 등에서 소비자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는데, 현재 오스트리아에서는 백만 가구 이상이 지역난방을 사용하고 있음. 


● 또한 지역난방은 화석연료 없이도 가능하며, 타 방식에 비해 재생에너지 사용의 유연성이 뛰어나 바이오매스, 재생 가능 가스, 산업 폐열, 지열에너지, 태양열에너지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할 수 있음.


● 지역난방 공급회사들은 공급 확대를 통해 오스트리아 난방 시장의 탈탄소화에 큰 기여를 해왔음. 그러나 최근 내각회의를 통과한 재생에너지확대법(EAG) 때문에 공급 확대를 보류하고 있으며, 난방 및 냉방 확대법(WKLG)의 만료로 오스트리아의 탈탄소화에 큰 차질이 발생될 것을 우려하고 있음.     

 

출처: https://www.fernwaerme.at/aktuell/264/

 

 

 

덴마크를 PtX 선도국가로 이끄는 지역난방 (Dansk Fjernvarme, 2021.5.12)

 

- 지역난방과 PtX의 통합으로 수소 가격 인하, 수소 설비 경쟁력 및 에너지 이용 효율 제고


● 덴마크 지역난방협회(Dansk Fjernvarme), 컨설팅회사인 COWI, 열 수송회사인 TVIS 등은 지역난방과 PtX(Power-to-X)의 결합에 의해 PtX의 성공적인 추진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신규 보고서 ‘PtX와 지역난방(Power-to-X and district heating)’을 최근 발간함.


● 보고서의 분석에 따르면, PtX에 의한 수소 생산과 지역난방 부문을 통합하여 녹색 수소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즉, PtX 발전소의 잉여 열을 지역난방에 활용하면 열 판매와 수소 생산이 늘어 수익이 증가하며, 수소 가격도 5-10% 낮출 수 있어 덴마크 내 수소 설비 설치에 경쟁 우위를 제공한다는 의견임.


● 해상풍력 전기를 물 전기분해에 사용하여 수소와 함께 지역난방에 적합한 잉여 열을 생산하는 경우, 녹색 전력 에너지의 10-25%는 지역난방에 활용될 수 있음. 만일 2030년에 6 GW 규모의 전기분해가 이루어진다면, 현재 지역난방 생산량의 20% 정도를 녹색 전력에 의한 PtX가 감당하게 되는 것임.   


● 덴마크 정부는 PtX 부문에서 선도국가가 되기 위한 계획을 설정하는 PtX 국가전략을 금년 말에  발표할 예정인데, 특히 지역난방과의 통합을 위한 행동 계획을 포함할 예정임.  


● 보고서는 부문간 통합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의사 결정자들이 취해야 할 다수의 권고안을 담고 있는데, 예를 들면, PtX 설비의 위치를 지역난방 네트워크에 근접하도록 계획을 수립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출처: https://www.danskfjernvarme.dk/aktuelt/nyheder/210512-ny-rapport-fjernvarme-kan-give-danmark-power-to-x-forspring

 

 

(44543)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성안동, 에너지경제연구원)


전화 052-714-2114

COPYRIGHT BY 2017 KIENERGY.NET ALL RIGHTS RESERVED.